AWS Jenkins를 이용한 CICD 구축해보기 - 1 Jenkins 설치하기
팀 프로젝트 진행 중 CICD파트를 담당해 구축하는 뻘짓을 적어 보았다.
설치 위치는 bastion 서버에 설치를 진행 했다. 그리고 jenkins의 사양이 높아서 무료버전을 사용하면 렉걸림 ... 눈 딱 감고 비싼 버전을 사용했다.
1. jenkins 설치
$ sudo yum install java-11-amazon-corretto
> jenkins에 경우 자바 버전이 중요한데 잘못 설치 할 경우 jenkins 구동이 안되니 조심하자 여기서 한시간 이상을 버리고서 깨달았다...ㅠ
$ sudo wget -O /etc/yum.repos.d/jenkins.repo https://pkg.jenkins.io/redhat-stable/jenkins.repo
$ sudo rpm --import https://pkg.jenkins.io/redhat-stable/jenkins.io.key
$ sudo yum install -y jenkins
> 젠킨슨 설치 진행
$ sudo systemctl start jenkins
$ systemctl status jenkins
> 잘 설치가 진행된걸 확인 가능
> jenkins에 경우 기본적으로 8080포트를 사용해서 진입함
> ec2에 서버에 공인ip:8080을 브라우저에 입력
> 비밀번호를 적으라고 뜨는데 위 path에 접근해 비밀번호를 찾으라는 뜻이다
> 찾은 비밀번호를 입력하자
> 한쪽은 기본 구성 설치 오른쪽은 골라서 설치로 우리는 왼쪽으로 선택한다.
> 그럼 이런 식으로 설치를 진행하는데 설치가 끝날때까지 대기하면 된다.
> 계정을 생성하는 창으로 원하는 계정명 암호 이름 등을 입력 하고 save를 클릭하자
> 다음을 눌러서 젠킨슨을 시작하면 된다 .
> 이런 화면이 뜨면 설치 성공한거다.
2. 도메인 달기
GitHub에 Webhook을 걸기 위해서는 도메인 형식으로 존재해야..한다? 라는 소리가 있어서 도메인을 달았다.
> 이제 jenkins에 도메인을 달기 위해 aws-route53을 검색 해서 들어온다
> 전에 사놓은 DNS에 호스팅 영역 클릭
> 도메인 이름 클릭
> 레코드 생성 클릭
> 레코드 이름 에 원하는 서브 도메인 입력
> 값에 경우 jenkins이 설치된 ec2서버의 공인 ip를 입력해 주고 레코드 생성 클릭
> 도메인을 입력 하고 8080포트로 입력 시 젠킨슨이 뜨는걸 확인 가능하다 .
다음 은 GitHub와 연동을 해 보겠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