나 혼자 리눅스 공부 - 2 .리눅스 파일의 종류 특징 및 주요 디렉토리 기능
2. 리눅스 파일의 종류와 특징
일반 파일
>> 일반 파일은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주로 사용됨 텍스트 실행 이미지 파일등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파일은 일반파일에 사용됨 바이너리 형태로 저장되서 바이너리파일이라고도 한다.
디렉터리
>> 디렉터리도 리눅스에서는 파일로 취급함 디렉터리 안에는 하위 디렉터리 또는 저장된 파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
심벌릭 링크
>> 바로가기 라고 생각하면 편함 원본파일을 대신하여 다른 이름으로 파일명을 지정한 것
장치파일
>> 하드디스크 키보드 같은 장치들도 파일로 취급한다. 장치파일은 시스템에 부착된 각종 장치를 관리하기 위해 존재한다. 대부분의 장치 파일은 /dev 디렉토리 아래에 위치한다.
file 명령어
>> 이 명령어를 활용하여 각각의 디렉토리의 상태를 확인해 보자
file .bash_profile
아스키코드로 구성된 텍스트 파일이라는 뜻이다.
file a
우선 mkdir 명령어를 사용해 a 디렉토리를 생성 후 명령어 사용
디렉터리라고 나온다 .
file /user/bin/ls
뭔가 길게 나오지만 요약하면 executable 실행파일임을 알 수 있다.
4. 디렉터리 계층구조
리눅스에서는 파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위해서 계층구조를 구성하는데 이를 나무와 비슷하다고 해서 트리 구조라고 한다.
최상단 디렉토리인 / 디렉토리가 있고 그 아래로 etc, usr, 등등이 존재함
디렉토리 주요 기능
dev >> 각종 장치들의 파일이 저장된 디렉토리
home >> 사용자 홈 디렉터리가 저장된 디렉터리
media >> cd나 usb등이 마운트하는 지점
opt >> 추가 패키지가 설치되는 디렉토리
root >> 루트 계정에 홈 디렉터리
sys >> 리눅스 커널과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다.
usr >> 기본 파일 시스템이나 라이브러리 헤더등 많은 파일이 저장되 있음 유닉스 시스템 리소스에 줄인말
boot >> 부팅과 관련된 파일이 존재하는 디렉터리
etc >> 리눅스 설정과 관련된 파일들이 저장된 디렉터리
lost+found >> 파일 시스템에 문제가 되어 복구가 필요할 경우 문제가 된 파일이 저장되는 디렉토리로 평소에는 비어 있음
mnt >> 파일시스템이 임시로 마운트하는 디렉터리
proc >> 프로세스 정보 커널 정보등이 저장된 디렉터리
run >> 실행중인 프로세스와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는 디렉터리
srv >> ftp web등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데이터가 저장
tmp >> 임시 파일들이 저장되는 디렉터리
var >> 시스템 운영중 발생되는 데이터나 로그들이 저장되는 디렉터리
bin >> 명령어가 저장된 디렉터리
sbin >> system binary 로 시스템 명령어가 저장된 디렉터리
작업디렉터리
현재 사용중인 디렉터리를 작업 디렉터리라 한다.
절대 경로 상대 경로
이 두 가지 개념이 정확해야 위치 옮기기 편함
절대 경로는 무조건 / 즉 상위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움직임
여기서 상위 디렉터리는 .. 점 두 개로 표시하고 현재 디렉터리는 . 으로 점 하나로 표시한다
일반 파일
>> 일반 파일은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주로 사용됨 텍스트 실행 이미지 파일등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파일은 일반파일에 사용됨 바이너리 형태로 저장되서 바이너리파일이라고도 한다.
디렉터리
>> 디렉터리도 리눅스에서는 파일로 취급함 디렉터리 안에는 하위 디렉터리 또는 저장된 파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
심벌릭 링크
>> 바로가기 라고 생각하면 편함 원본파일을 대신하여 다른 이름으로 파일명을 지정한 것
장치파일
>> 하드디스크 키보드 같은 장치들도 파일로 취급한다. 장치파일은 시스템에 부착된 각종 장치를 관리하기 위해 존재한다. 대부분의 장치 파일은 /dev 디렉토리 아래에 위치한다.
file 명령어
>> 이 명령어를 활용하여 각각의 디렉토리의 상태를 확인해 보자
file .bash_profile
아스키코드로 구성된 텍스트 파일이라는 뜻이다.
file a
우선 mkdir 명령어를 사용해 a 디렉토리를 생성 후 명령어 사용
디렉터리라고 나온다 .
file /user/bin/ls
뭔가 길게 나오지만 요약하면 executable 실행파일임을 알 수 있다.
4. 디렉터리 계층구조
리눅스에서는 파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위해서 계층구조를 구성하는데 이를 나무와 비슷하다고 해서 트리 구조라고 한다.
최상단 디렉토리인 / 디렉토리가 있고 그 아래로 etc, usr, 등등이 존재함
디렉토리 주요 기능
dev >> 각종 장치들의 파일이 저장된 디렉토리
home >> 사용자 홈 디렉터리가 저장된 디렉터리
media >> cd나 usb등이 마운트하는 지점
opt >> 추가 패키지가 설치되는 디렉토리
root >> 루트 계정에 홈 디렉터리
sys >> 리눅스 커널과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다.
usr >> 기본 파일 시스템이나 라이브러리 헤더등 많은 파일이 저장되 있음 유닉스 시스템 리소스에 줄인말
boot >> 부팅과 관련된 파일이 존재하는 디렉터리
etc >> 리눅스 설정과 관련된 파일들이 저장된 디렉터리
lost+found >> 파일 시스템에 문제가 되어 복구가 필요할 경우 문제가 된 파일이 저장되는 디렉토리로 평소에는 비어 있음
mnt >> 파일시스템이 임시로 마운트하는 디렉터리
proc >> 프로세스 정보 커널 정보등이 저장된 디렉터리
run >> 실행중인 프로세스와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는 디렉터리
srv >> ftp web등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데이터가 저장
tmp >> 임시 파일들이 저장되는 디렉터리
var >> 시스템 운영중 발생되는 데이터나 로그들이 저장되는 디렉터리
bin >> 명령어가 저장된 디렉터리
sbin >> system binary 로 시스템 명령어가 저장된 디렉터리
작업디렉터리
현재 사용중인 디렉터리를 작업 디렉터리라 한다.
절대 경로 상대 경로
이 두 가지 개념이 정확해야 위치 옮기기 편함
절대 경로는 무조건 / 즉 상위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움직임
여기서 상위 디렉터리는 .. 점 두 개로 표시하고 현재 디렉터리는 . 으로 점 하나로 표시한다
일반 파일
>> 일반 파일은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주로 사용됨 텍스트 실행 이미지 파일등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파일은 일반파일에 사용됨 바이너리 형태로 저장되서 바이너리파일이라고도 한다.
디렉터리
>> 디렉터리도 리눅스에서는 파일로 취급함 디렉터리 안에는 하위 디렉터리 또는 저장된 파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
심벌릭 링크
>> 바로가기 라고 생각하면 편함 원본파일을 대신하여 다른 이름으로 파일명을 지정한 것
장치파일
>> 하드디스크 키보드 같은 장치들도 파일로 취급한다. 장치파일은 시스템에 부착된 각종 장치를 관리하기 위해 존재한다. 대부분의 장치 파일은 /dev 디렉토리 아래에 위치한다.
file 명령어
>> 이 명령어를 활용하여 각각의 디렉토리의 상태를 확인해 보자
file .bash_profile
아스키코드로 구성된 텍스트 파일이라는 뜻이다.
file a
우선 mkdir 명령어를 사용해 a 디렉토리를 생성 후 명령어 사용
디렉터리라고 나온다 .
file /user/bin/ls
뭔가 길게 나오지만 요약하면 executable 실행파일임을 알 수 있다.
4. 디렉터리 계층구조
리눅스에서는 파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위해서 계층구조를 구성하는데 이를 나무와 비슷하다고 해서 트리 구조라고 한다.
최상단 디렉토리인 / 디렉토리가 있고 그 아래로 etc, usr, 등등이 존재함
디렉토리 주요 기능
dev >> 각종 장치들의 파일이 저장된 디렉토리
home >> 사용자 홈 디렉터리가 저장된 디렉터리
media >> cd나 usb등이 마운트하는 지점
opt >> 추가 패키지가 설치되는 디렉토리
root >> 루트 계정에 홈 디렉터리
sys >> 리눅스 커널과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다.
usr >> 기본 파일 시스템이나 라이브러리 헤더등 많은 파일이 저장되 있음 유닉스 시스템 리소스에 줄인말
boot >> 부팅과 관련된 파일이 존재하는 디렉터리
etc >> 리눅스 설정과 관련된 파일들이 저장된 디렉터리
lost+found >> 파일 시스템에 문제가 되어 복구가 필요할 경우 문제가 된 파일이 저장되는 디렉토리로 평소에는 비어 있음
mnt >> 파일시스템이 임시로 마운트하는 디렉터리
proc >> 프로세스 정보 커널 정보등이 저장된 디렉터리
run >> 실행중인 프로세스와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는 디렉터리
srv >> ftp web등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데이터가 저장
tmp >> 임시 파일들이 저장되는 디렉터리
var >> 시스템 운영중 발생되는 데이터나 로그들이 저장되는 디렉터리
bin >> 명령어가 저장된 디렉터리
sbin >> system binary 로 시스템 명령어가 저장된 디렉터리
작업디렉터리
현재 사용중인 디렉터리를 작업 디렉터리라 한다.
절대 경로 상대 경로
이 두 가지 개념이 정확해야 위치 옮기기 편함
절대 경로는 무조건 / 즉 상위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움직임
여기서 상위 디렉터리는 .. 점 두 개로 표시하고 현재 디렉터리는 . 으로 점 하나로 표시한다